강원도지사
article thumbnail

데이터 : 관찰의 결과로 나타난 정량적 혹은 정성적인 실제 값

정보 : 데이터에 의미를 부여한 것

지식 : 사물이나 현상에 대한 이해

 

데이터베이스 : 조직에 필요한 정보를 얻기위해 논리적으로 연관된 데이터를 모아 구조적으로 통합해 놓은 것

  •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은 데이터의 검색과 변경 작업을 주로 수행함
  • 변경이란 시간에 따라 변하는 데이터 값을 데이터베이스에 반영하기 위해 수행하는 삽입, 삭제, 수정 등의 작업을 말함

데이터의 4종류

  • 통합된 데이터(integrated data)
    데이터를 통합하는 개념으로, 각자 사용하던 데이터의 중복을 최소화하여 중복으로 인한 데이터 불일치 현상을 제거

 

  • 저장된 데이터(stored data)
    문서로 보관된 데이터가 아니라 디스크, 테이프 같은 컴퓨터 저장장치에 저장된 데이터를 의미

 

  • 운영 데이터(operational data)
    조직의 목적을 위해 사용되는 데이터를 의미한다. 즉 업무를 위한 검색을 할 목적으로 저장된
    데이터

 

  • 공용 데이터(shared data)

 

한 사람 또는 한 업무를 위해 사용되는 데이터가 아니라 공동으로 사용되는 데이터를 의미

 

데이터베이스의 특징

  • 실시간 접근성(real time accessibility)

     데이터베이스는 실시간으로 서비스, 사용자가 데이터를 요청하면 몇 시간이나 몇 일 뒤에 결과를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수 초 내에 결과를 서비스

 

  • 계속적인 변화(continuous change)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내용은 어느 한 순간의 상태를 나타내지만, 데이터 값은 시간에 따라 항상 바뀜. 데이터베이스는 삽입(insert), 삭제(delete), 수정(update) 등의 작업을 통하여 바뀐 데이터 값을 저장

 

  • 동시 공유(concurrent sharing)

     데이터베이스는 서로 다른 업무 또는 여러 사용자에게 동시에 공유동시(concurrent)는 병행이라고도 하며,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는 프로그램이 여러 개 있다는 의미

 

  • 내용에 따른 참조(reference by content)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는 데이터의 물리적인 위치가 아니라 데이터 값에 따라 참조

 

 

정보 시스템의 발전

 

1. 파일 시스템

  • 데이터를 파일 단위로 파일 서버에 저장
  • 각 컴퓨터는 LAN을 통하여 파일 서버에 연결되어 있고, 파일 서버에 저장된 데이터를 사용하기 위해 각 컴퓨터의 응용 프로그램에서 열기/닫기(open/close)를 요청
  • 각 응용 프로그램이 독립적으로 파일을 다루기 때문에 데이터가 중복 저장될 가능성이 있음
  • 동시에 파일을 다루기 때문에 데이터의 일관성이 훼손될 수 있음

2. 데이터 베이스 시스템(DBMS)

  • DBMS를 도입하여 데이터를 통합 관리하는 시스템
  • DBMS가 설치되어 데이터를 가진 쪽을 서버(server), 외부에서 데이터 요청하는 쪽을 클라이언트(client)라고 함
  • DBMS 서버가 파일을 다루며 데이터의 일관성 유지, 복구, 동시 접근 제어 등의 기능을 수행
  • 데이터의 중복을 줄이고 데이터를 표준화하며 무결성을 유지

3.웹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 데이터베이스를 웹 브라우저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서비스하는 시스템
  • 불특정 다수 고객을 상대로 하는 온라인 상거래나 공공 민원 서비스 등에 사용됨

4.분산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 여러 곳에 분산된 DBMS 서버를 연결하여 운영하는 시스템
  • 대규모의 응용 시스템에 사용됨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구성

3단계 데이터베이스 구조

  • 외부 스키마
  • 일반 사용자나 응용 프로그래머가 접근하는 계층, 전체 데이터베이스 중에서 하나의 논리적인 부분을 의미
  • 여러 개의 외부 스키마(external schema)가 있을 수 있음
  • 서브 스키마(sub schema)라고도 하며, 뷰(view)의 개념임

 

  • 개념 스키마
  • 전체 데이터베이스의 정의를 의미
  • 통합 조직별로 하나만 존재하며 DBA가 관리함
  • 하나의 데이터베이스에는 하나의 개념 스키마(conceptual schema)가 있음
  • 내부 스키마
  • 물리적 저장 장치에 데이터베이스가 실제로 저장되는 방법의 표현
  • 내부 스키마(intenal schema)는 하나
  • 인덱스, 데이터 레코드의 배치 방법, 데이터 압축 등에 관한 사항이 포함됨
  • 외부/개념 매핑
    • 사용자의 외부 스키마와 개념 스키마 간의 매핑(사상)
    • 외부 스키마의 데이터가 개념 스키마의 어느 부분에 해당되는지 대응시킴
  • 개념/내부 매핑
  • 개념 스키마의 데이터가 내부 스키마의 물리적 장치 어디에 어떤 방법으로 저장되는지 대응시킴

 

학교에서 내준 문제

Q 데이터베이스가 취급하는 데이터의 특징 4가지를 쓰시오.
 
A)통합된 데이터 저장된 데이터 운영 데이터 공용 데이터
Q 데이터베이스의 특징을 4가지 쓰시오.
 
A) 실시간 접근성, 계속적인 변화, 동시 공유, 내용에 따른 참조
Q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구성 중 데이터베이스관리자를 뜻하는 용어는?
 
 
A) DBA(DataBaseAdmin)
Q 3단계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쓰시오.
 
A) 외부 스키마, 개념 스키마, 내부 스키마
Q여러 곳에 분산된 DBMS 서버를 연결하여 운영하는 시스템은?
 
 
A)분산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데이터베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이터베이스 기초 2일차 - 2  (0) 2023.03.08
데이터베이스 기초 2일차 - 1  (0) 2023.03.08
데이터베이스 기초 첫째날 -2  (0) 2023.03.08
profile

강원도지사

@박강원입니다

노력하여 끊임없이 발전하는 사람이 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