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 사람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음악 어플은 무엇인가? 라고 한국 사람에게 물으면 대부분이 '멜론'이라고 생각할 것이다. 그러나 사실은 유튜브 뮤직이 가장 높은 점유율을 가지고 있다. 유튜브 프리미엄과의 연동으로 인해 사용하는 사람들도 많겠지만 나는 멜론의 UI가 옛날과 달리 개편 된 후 상당히 복잡하고 정신없다고 생각한다. 그럼 예전 멜론의 UI를 보고 가장 최근의 멜론 UI를 보자. 위 사진은 약 2020년도 멜론사진이다. 이때는 어플에 들어오자마자 아티스트 소개 배너, 최신음악, 음악 재생 차트가 보이게 된다. 위 멜론은 2023년 4월 14일의 멜론의 모습이다. 이제 사용자가 멜론을 들어가자마자 바로 볼 수 있는 것은 아티스트 소개, 최신음악, 음악 차트가 아니라 다른 사람이 만들고 좋아요가 높은..

지금 동아리에서 뮤직플레이어&음악 스트리밍 웹에 대한 디자인을 고민중이라 첫번째 주제는 스포티파이로 잡았다. 사실 스포티파이에 국한되는것은 아니고 스포티파이를 필두로 한 다양한 음악 사이트의 UI/UX를 한번 보며 좋은 점 아쉬운 점을 적어보겠다. 위에 화면은 스포티파이의 pc화면이다. 장점은 깔끔해보이고 직관적으로 뭐가 뭐인지 알 수있다. 단점은 왼쪽 바에 플레이리스트가 너무 주르륵 배열만 되어있다는것이다. 내가 좋아하는 음악이나 내가 들었던 곡을 찾기 어려워 사용자가 클릭을 잘하지 않을 수 있다. 아래 사진은 핀터레스트에서 발견했다. 한 유저가 스포티파이의 디자인을 리디자인한 것이다. 이 디자인의 장점은 일단 음악을 틀고 끄는게 플레이리스트를 틀지않는 이상 왼쪽에서 다 해결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그리..
학교 자율동아리에서 나는 웹 디자인을 맡게되었다. 그러나 나는 디자인에 대한 지식이나 경험이 부족하기에 디자이너 분들이 유튜브에 올려놓으신 영상들을 봤는데. 거기서 많은 디자이너 분들이 레퍼런스(예시작)를 고르고 왜 이 레퍼런스 골랐는지, 이 레퍼런스의 좋은 점이 뭔지를 기록하라고 하셔서 에브리데이 위드 레퍼런스를 시작하게 되었다!